적금 3.0% vs CMA 하루이자, 초미세 수익 비교 실험

적금 연 3.0%와 CMA 연 3.0%, 같은 금리인데 실제로는 CMA가 거의 두 배 가까이 이자를 더 받아요. 매달 100만원씩 1년 적금 넣으면 세후 16만원, CMA에 1200만원 넣으면 세후 30만원이에요.


왜 같은 3%인데 이렇게 차이가 날까요?


처음엔 저도 이해가 안 됐어요. 은행 직원이 적금 금리 3%라고 해서 당연히 1200만원에 3%면 36만원 받는다고 생각했거든요.


근데 적금은 매달 돈을 넣는 거잖아요. 첫 달에 넣은 100만원은 12개월 동안 이자가 붙지만 마지막 달에 넣은 100만원은 겨우 1개월만 이자가 붙어요.


계산해보니 평균적으로 6.5개월 정도만 이자가 붙는 거예요. 그래서 실제로는 연 3%의 절반 정도인 1.65% 수준밖에 안 되는 거죠.


CMA는 처음부터 1200만원을 통째로 넣어서 365일 내내 이자가 붙어요. 게다가 매일 발생한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서 다음날 이자 계산할 때 기준 금액이 조금씩 커져요. 이게 복리 효과예요.


실제로 계산해본 결과


제가 엑셀로 직접 계산해봤어요. 세금 15.4% 떼고 나면 이렇게 나와요.


적금(매달 100만원씩 12개월):

  • 세전 이자: 19만 5천원
  • 세후 이자: 16만 5천원

CMA(1200만원 일시 입금):

  • 세전 이자: 36만원
  • 세후 이자: 30만 5천원

차이가 14만원이에요. 적지 않은 돈이죠.


하루 단위로 계산해보면 더 재밌어요. CMA는 1200만원 넣으면 하루에 832원씩 이자가 붙어요. 주말에도 쉬지 않고 매일매일 이자가 쌓여요. 반면 적금은 날짜별로 계산하면 너무 복잡해서 은행에서도 월 단위로만 계산해요.


주황색 배경에 한 사람이 긴 영수증이나 명세서를 들고 돋보기로 자세히 살펴보는 모습을 그린 일러스트. 분홍색 상의와 파란색 바지를 입은 사람이 서 있으며, 주변에는 달러 표시가 있는 금색 동전 3개가 떠 있음. 금융 상품의 세부 내역을 꼼꼼히 분석하는 모습을 시각화한 이미지.


적금의 실제 이자율은 55% 수준


제가 처음 알았을 때 정말 놀랐어요. 적금 3%라고 하면 실제로는 1.65% 정도만 받는다는 거예요.


왜 이렇게 되는지 자세히 설명해볼게요. 적금은 매달 납입하는 구조라서 각 월별 납입금이 이자를 받는 기간이 달라요.


1월 납입금: 12개월 이자

2월 납입금: 11개월 이자

3월 납입금: 10개월 이자

...

12월 납입금: 1개월 이자


이렇게 평균을 내면 6.5개월이 나와요. 그래서 실제 적용 이율은 연 이율의 약 55% 수준이 되는 거죠. 3% × 0.55 = 1.65%인 셈이에요.


은행에서는 이걸 잘 설명 안 해줘요. 그냥 연 3%라고만 말하죠. 저도 나중에 알고 나서 좀 속은 기분이었어요.


CMA의 일복리 효과가 생각보다 커요


CMA는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어요. 게다가 그 이자가 다음날 원금에 포함돼서 복리로 불어나요.


예를 들어 1200만원을 넣으면 이렇게 계산돼요.


  • 1일차: 12,000,000 × 3% ÷ 365 × 84.6% = 832원
  • 2일차: 12,000,832 × 3% ÷ 365 × 84.6% = 832원


매일 이렇게 조금씩 원금이 커지면서 365일 후에는 세후 30만 5천원이 돼요.


단순하게 생각하면 별거 아닌 것 같지만 1년이면 꽤 차이가 나요. 단리로 계산하면 30만 4천원인데 복리로 하면 30만 5천원이 되거든요. 천원이라도 더 받는 게 어디예요.


그럼 적금은 왜 하는 걸까요?


적금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에요. 저도 사실 적금을 하고 있어요.


목돈이 없을 때는 적금이 답이에요. 매달 월급에서 조금씩 떼어서 모으는 거니까요. 그리고 중간에 해지하면 이자를 거의 못 받아서 끝까지 붓게 되는 강제성도 있어요.


반면 CMA는 언제든 뺄 수 있어서 유혹에 약한 사람은 힘들어요. 저도 급할 때마다 CMA에서 돈을 빼서 써버렸거든요.


게다가 적금은 자동이체가 편해요. 월급날에 맞춰서 알아서 빠져나가니까 신경 쓸 게 없어요. CMA는 제가 직접 옮겨야 해서 깜빡할 때가 많았어요.


실제로 써본 경험담


작년에 저는 두 가지를 동시에 해봤어요. 적금 월 50만원, CMA에 600만원을 넣고 1년을 기다렸죠.


적금은 매달 빠져나가는 게 부담스러웠지만 어느새 600만원이 모였어요. 이자는 9만 8천원 받았어요. 생각보다 적어서 실망했죠.


CMA는 600만원으로 시작해서 이자 포함 615만 2천원이 됐어요. 중간에 한 번도 안 뺐는데도 15만원이나 늘었어요.


목돈이 있으면 무조건 CMA가 유리하다는 걸 알게 됐어요.


주황색 배경에 금융 관련 요소들이 배치된 일러스트. 왼쪽에는 모래시계, 중앙에는 서류 뭉치와 계산기, 주변에는 달러 표시가 있는 금색 동전들이 흩어져 있음. 오른쪽에는 흰색 상의와 검은색 바지를 입은 사람이 동전을 들고 달려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음.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자 수익 증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미지.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요?


목돈이 있으면 CMA가 유리해요. 1200만원이 있는데 굳이 적금에 나눠서 넣을 이유는 없어요.


목돈이 없고 매달 모아야 한다면 적금이 맞아요. 어차피 CMA에 매달 100만원씩 넣어도 적금과 비슷한 이자밖에 못 받거든요.


단기 자금이면 CMA가 좋아요. 3개월 후에 쓸 돈이라면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붙는 CMA가 낫죠.


장기 저축 습관을 만들려면 적금이 나아요. 중도해지 부담 때문에라도 끝까지 붓게 되니까요.


비상금 관리에도 CMA가 편해요. 급할 때 바로 꺼낼 수 있으면서도 놀고 있는 동안 이자를 받을 수 있거든요.


결국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저는 지금 적금으로 종잣돈 모으고 있고 나중에 목돈이 생기면 CMA로 갈아탈 계획이에요.


동일한 금리라면 CMA가 압도적으로 유리하다는 건 확실해요. 다만 저축 습관이나 강제성이 필요한 분이라면 적금도 좋은 선택이에요.


복리와 단리의 진짜 차이점이 뭔지 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