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5GB로 충분할까? 무제한과 연간 20만원 차이 실제 계산해봤어요

지난달 통신요금 명세서를 보니 한 달에 4만 5천원이 나왔어요. 1년이면 54만원인데 알뜰폰으로 바꾸면 얼마나 아낄 수 있을지 직접 계산해봤어요.


데이터 사용량부터 확인했어요


통신사 앱에서 최근 6개월 사용량을 확인해보니 월평균 3.5GB 정도 썼더라고요. 집과 회사에서 와이파이를 쓰니까 생각보다 적게 나왔어요. 주로 카톡, 네이버 검색, 유튜브 가끔 보는 정도였거든요.


친구들한테 물어보니 비슷한 패턴이 많았어요:


  • 와이파이 주로 쓰는 직장인: 월 2~5GB
  • 출퇴근 길에 넷플릭스 보는 사람: 월 15~20GB
  • 와이파이 없이 사는 자취생: 월 30GB 이상


처음엔 혹시 모르니까 넉넉하게 잡아야 하나 고민했는데 3개월치 사용량이 다 4GB 미만이더라고요. 그래서 과감하게 5GB로 결정했어요.


알뜰폰 요금제 가격 직접 비교해봤어요


요즘 알뜰폰 요금제가 정말 저렴해졌더라고요. 2025년 기준으로 이런 가격대였어요:


5GB 요금제: 월 8,000~15,000원

  • SK세븐모바일 5GB: 월 9,900원
  • KT M모바일 5GB: 월 11,000원


20~30GB 요금제: 월 13,000~25,000원

  • U+유모바일 20GB: 월 15,000원
  • 이야기모바일 30GB: 월 19,900원


50GB 무제한: 월 22,000~30,000원

  • KG모바일 무제한: 월 25,000원
  • 스마텔 무제한: 월 23,900원


제가 5GB 요금제로 바꾸면 월 1만원 정도면 되니까 연간 12만원이에요. 지금 쓰는 요금제가 연 54만원이니까 42만원을 아낄 수 있는 거죠.


요금제 비교 사이트에서 보니까 신규 가입 프로모션도 많았어요. 첫 3개월 반값 이벤트나 유심비 면제 같은 혜택들이 있어서 실제로는 더 저렴하게 시작할 수 있었어요.


노란색 배경의 스마트폰 화면에 전화번호 다이얼 패드가 표시된 모습


실제로 바꿔보니 이런 점이 달랐어요


3개월 전에 알뜰폰으로 갈아탔는데요. 처음엔 속도나 품질이 떨어질까 봐 걱정했어요. 그런데 막상 써보니 전혀 차이를 못 느끼겠더라고요.


통화 품질도 똑같고 데이터 속도도 유튜브 보는 데 전혀 문제없었어요. 알뜰폰도 SKT, KT, LG U+ 망을 그대로 쓰기 때문에 품질은 동일하다고 하네요.


다만 이런 건 조금 달랐어요:

  • 고객센터 연결이 조금 느림
  • 멤버십 혜택이 거의 없음
  • 매장이 없어서 온라인으로만 가입


그래도 연간 40만원 넘게 아끼는데 이 정도는 감수할 만해요.


가입할 때 팁이 있다면 본인 확인 서류를 미리 준비해두세요. 신분증 사진이랑 통장 사본이 필요한데 온라인으로 하니까 서류 준비가 제일 번거로웠어요. 그리고 기존 번호 그대로 쓰려면 번호이동 신청을 꼭 해야 해요.


1인 가구라면 이렇게 선택하세요


월 5GB 이하 사용자: 알뜰폰 1만원대 요금제

  • 연간 지출: 10~15만원
  • 기존 대비 절감액: 연 30~40만원


월 20GB 정도 사용자: 알뜰폰 2만원대 요금제

  • 연간 지출: 20~25만원
  • 기존 대비 절감액: 연 20~30만원


무제한 필요한 사용자: 알뜰폰 3만원대 요금제

  • 연간 지출: 30~36만원
  • 기존 대비 절감액: 연 15~20만원


저처럼 와이파이를 주로 쓰는 사람은 5GB로도 충분했어요. 무제한과 비교하면 연간 20만원 이상 차이 나니까 본인 사용량을 꼭 확인해보세요.


하얀색 돼지 저금통에 동전을 넣는 손 클로즈업


통신비 아낀 돈으로 저는 적금을 하나 더 들었어요. 작은 변화지만 1년이면 꽤 큰 돈이 되더라고요. 주변 친구들도 하나둘 알뜰폰으로 바꾸고 있는데 다들 왜 진작 안 바꿨나 하더라고요. 특히 집에서 일하는 프리랜서나 재택근무가 많은 직장인들은 정말 5GB로도 넉넉하다고 해요.


구독 취소만으로 월 5만 원 아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