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서 ETF를 매도하면 즉시 계좌 내에서는 현금으로 전환되지만, 실제로 그 돈을 꺼내 쓰려면 생각보다 복잡한 과정이 있어요. 많은 분들이 ETF 매도 즉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고 오해하는데, 의무가입기간과 세제 혜택 때문에 제약이 꽤 많아요.
ETF 매도하면 정말 바로 현금이 되나요?
ISA 계좌 내에서 ETF를 팔면 거의 실시간으로 현금화가 진행돼요. 주식 거래와 마찬가지로 매도 주문이 체결되면 T+2일 내에 매도 대금이 계좌에 입금되는데, 보통은 당일이나 다음 영업일에 현금으로 표시되죠.
문제는 이 현금을 ISA 계좌 밖으로 빼내는 과정이에요. 계좌 내에서는 자유롭게 현금화할 수 있지만, 실제 인출은 원금 범위 내에서만 가능해요. 예를 들어 1000만원을 납입하고 200만원 수익이 발생했다면, 의무가입기간 중에는 1000만원까지만 자유롭게 뺄 수 있어요.
수익금 200만원을 인출하려면 어떻게 될까요. 이 부분이 참 애매한데, 수익을 인출하는 순간 중도 해지로 간주되어 세제 혜택을 모두 포기해야 해요. 그동안 쌓아온 손익통산 효과도 사라지고, 일반 과세가 적용되죠.
의무가입기간 3년이 핵심이에요
ISA의 가장 큰 특징은 3년이라는 의무가입기간이에요. 이 기간 동안은 계좌를 유지해야만 세제 혜택을 온전히 받을 수 있어요.
만기가 되기 전까지는 계좌 내에서 아무리 매매를 해도 과세가 되지 않아요. 주식을 사고팔고, ETF를 거래하고, 채권에 투자해도 세금 걱정 없이 운용할 수 있죠. 이게 바로 과세 이연 효과예요.
3년 만기가 되면 그동안의 모든 손익을 통산해서 한 번에 정산해요. A 종목에서 500만원 벌고 B 종목에서 300만원 손실이 났다면, 순이익 200만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계산하는 거예요. 일반 계좌였다면 500만원 수익에 대해 세금을 내야 했을 텐데 말이죠.
원금과 수익, 인출 순서가 중요해요
ISA에서 돈을 빼낼 때는 원금부터 먼저 인출돼요. 이 부분이 상당히 중요한데,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더라고요.
1200만원을 납입하고 300만원 수익이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볼게요. 총 1500만원이 계좌에 있는 상태에서 500만원을 인출한다면, 이 500만원은 모두 원금에서 빠져나가는 거예요. 아직 수익금은 건드리지 않은 상태죠.
그런데 1300만원을 인출하려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원금 1200만원을 초과하는 100만원은 수익금 인출로 간주돼요. 이 순간 세제 혜택이 사라지고 중도 해지 처리가 되는 거죠. 참 까다롭죠.
실제로 저도 처음에는 이 부분을 잘 몰랐어요. 급하게 돈이 필요해서 인출하려다가 증권사 직원 설명을 듣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다행히 원금 범위 내에서만 인출해서 세제 혜택을 유지할 수 있었어요.
만기 해지 시 세금 계산 방법
3년 만기가 되면 본격적인 세금 정산이 시작돼요. 일반형 ISA는 순이익 200만원까지 비과세, 서민형이나 농어민형은 400만원까지 비과세예요.
비과세 한도를 넘는 금액에 대해서는 9.9% 분리과세가 적용돼요. 일반 금융소득세 15.4%보다 훨씬 낮은 세율이죠. 예를 들어 순이익이 500만원이라면, 일반형 기준으로 200만원은 비과세, 나머지 300만원에 대해 9.9% 세금을 내는 거예요.
손익통산의 위력은 정말 대단해요. 여러 종목에서 손실이 발생했더라도 수익과 상계처리되니까요. 일반 계좌에서는 손실은 손실대로, 수익은 수익대로 따로 계산되는데 ISA는 모든 걸 합쳐서 계산해요.
ETF 매도 후 현금 활용 전략
ETF를 매도한 후 계좌 내 현금을 어떻게 활용할지도 중요해요. 당장 인출이 필요하지 않다면 몇 가지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단기 채권형 ETF나 CD 연동 ETF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어요. 안정적이면서도 어느 정도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죠. 특히 금리가 높은 시기에는 나쁘지 않은 선택이에요.
만기채권 ETF도 좋은 대안이에요. 만기가 정해져 있어서 안정적이고, 필요할 때 언제든 매도할 수 있어요.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현금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약간의 수익을 노릴 수 있죠.
아니면 그냥 계좌 내 현금으로 두고 다음 투자 기회를 노리는 것도 방법이에요. ISA 내에서는 매매 차익에 과세가 되지 않으니까 적극적으로 매매해도 괜찮아요.
수익 실현 타이밍 잡는 게 어려워요
언제 ETF를 팔아야 할지 결정하는 건 정말 어려운 문제예요. 수익이 났을 때 팔자니 더 오를 것 같고, 손실이 났을 때 팔자니 회복될 것 같고요.
기업의 펀더멘털이 악화되거나 투자 테마가 약해졌다면 과감하게 정리하는 게 맞아요. 특히 재무구조가 나빠지거나 경영진의 전략이 실패했다면 빠른 손절이 필요해요.
시장 변동성이 커질 때도 주의해야 해요. 군중심리에 휩쓸려서 패닉 매도를 하거나, 지나친 낙관으로 고점에서 매수하는 실수를 하기 쉽거든요.
세금과 수수료도 무시할 수 없어요. ISA 내에서는 세금 걱정이 적지만, 잦은 매매로 인한 수수료는 수익률을 갉아먹어요. 특히 ETF는 매매 수수료 외에도 운용 보수가 있으니까 이것도 감안해야 해요.
개인적으로는 목표 수익률을 정해두고 기계적으로 실현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감정을 배제하고 원칙을 지키는 게 장기적으로 유리하더라고요.
ISA에서 ETF 투자는 세제 혜택 때문에 매력적이지만, 의무가입기간과 인출 제한 같은 제약도 있어요. 이런 특징을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효과적인 자산 운용이 가능할 거예요. 무엇보다 3년이라는 시간을 견딜 수 있는 여유 자금으로 시작하는 게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