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ISA 계좌 만들어야지 생각만 했어요
친구들이 ISA 계좌 만들면 세금 혜택이 좋다고 해서 알아보기 시작했는데요. 막상 찾아보니까 신탁형이랑 중개형으로 나뉘어져 있더라고요. 은행 직원분한테 물어봐도 설명이 너무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웠어요.
그래서 직접 자료를 찾아보고 정리해봤더니 생각보다 간단한 차이였어요. 제가 이해한 내용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릴게요.
신탁형 ISA는 은행에 맡기는 방식이에요
신탁형 ISA는 쉽게 말해서 돈을 금융기관에 맡기는 방식이에요. 은행이나 증권사 어디서든 만들 수 있고요. 가장 큰 장점은 예금이나 적금도 넣을 수 있다는 거예요.
저같은 경우는 주식 투자 경험이 별로 없어서 신탁형으로 시작했어요. 상품만 골라놓으면 은행에서 알아서 운용해주니까 편하더라고요. 다만 신탁보수라는 수수료가 있어요.
- 현금이나 예금은 연 0.1%
- 펀드는 연 0.3% 이하
- ETF는 연 0.7% 이하
- 국내 주식은 연 0.2%
수수료가 있긴 하지만 예금 위주로 운용하면 연 0.1% 정도라서 부담은 크지 않아요. 보통 후불로 떼어가는 방식이고요.
중개형 ISA는 직접 투자하는 방식이에요
중개형 ISA는 증권사에서만 만들 수 있어요. 예금이나 적금은 못 넣지만 주식이나 ETF를 직접 사고팔 수 있어요.
제 동생은 주식 투자를 좋아해서 중개형으로 만들었는데요. 본인이 원하는 종목을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어서 좋다고 하더라고요. 신탁보수 같은 운용 수수료는 없고 거래할 때 매매수수료만 내면 돼요.
투자할 수 있는 상품도 다양해요.
- 국내 상장 주식
- ETF나 ETN
- 채권이나 회사채
- 펀드
- 리츠
- ELS나 DLS 같은 파생상품
세금 혜택은 똑같아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데 세금 혜택은 신탁형이나 중개형이나 똑같아요.
일반형은 순이익 200만원까지 세금이 없고요. 서민형이나 농어민형은 400만원까지 세금이 없어요. 이걸 넘어가는 수익은 9.9% 세율로 떼어가요. 일반 금융상품은 15.4%니까 훨씬 유리하죠.
가장 좋은 건 손익통산이에요. 계좌 안에서 손실 본 상품이랑 수익 난 상품을 합쳐서 계산해요. 예를 들어 주식으로 100만원 손해 봤는데 펀드로 150만원 벌었다면 순이익 50만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는 거예요.
실제로 계좌 만들면서 알게 된 점들
처음에 은행 가서 ISA 계좌 만들려고 했더니 필요한 서류가 생각보다 간단했어요. 신분증만 있으면 되더라고요. 온라인으로도 만들 수 있는데 저는 직접 가서 상담받으면서 만들었어요.
계좌 개설하고 나서 3년은 유지해야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중간에 해지하면 일반 계좌처럼 세금을 내야 해서 주의해야 해요. 그리고 만기가 되면 연금계좌로 이체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하면 추가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최대 300만원까지 10% 세액공제가 가능하대요.
제 주변에도 ISA 계좌 만든 사람들이 꽤 있는데요. 대부분 신탁형으로 시작하더라고요. 아무래도 투자가 처음이면 직접 매매하는 게 부담스럽잖아요. 그런데 1~2년 지나니까 중개형으로 바꾸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생기더라고요. 투자 공부하면서 자신감이 생긴 것 같아요.
어떤 걸 선택하면 좋을까요?
결국 본인 투자 스타일에 따라 고르면 돼요.
저처럼 투자 경험이 별로 없고 안전하게 가고 싶으면 신탁형이 나아요. 예금이나 적금도 넣을 수 있고 금융기관에서 대신 운용해주니까 신경 쓸 게 적어요.
반대로 주식 투자 경험이 있고 직접 매매하고 싶으면 중개형이 맞아요. 수수료도 적고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거든요.
저는 신탁형으로 시작해서 1년 정도 운용해봤는데요. 예금 70%, 채권형 펀드 20%, ELS 10% 정도로 구성했어요. 수익률은 높지 않지만 안정적이라서 만족하고 있어요.
내년에는 투자 공부를 좀 더 해서 중개형도 하나 만들어볼까 생각 중이에요. ISA는 1인당 1개만 만들 수 있으니까 신중하게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