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 비과세 한도 200만원 넘어도 절세되는 상품 설정법

ISA 계좌에서 순이익이 200만원을 넘어가면 세금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실제로는 초과분에 대해서도 9.9%의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가 적용되어서 일반 금융상품보다 훨씬 유리해요. 여기에 손익 통산까지 활용하면 절세 효과는 더 커져요.


빨간 돼지저금통 옆에서 계산기로 투자수익률 계산하는 손과 재무차트


비과세 한도를 넘어서도 ISA가 유리한 이유


일반 계좌에서는 금융소득에 대해 15.4%의 세금을 내야 해요. 그런데 ISA에서는 순이익 200만원을 초과하는 부분도 9.9%만 내면 되니까 5.5%포인트나 절세가 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순이익이 300만원이라면, 200만원까지는 비과세이고 나머지 100만원에 대해서만 9.9%인 9만 9천원의 세금을 내면 돼요.


서민형이나 농어민형 ISA는 비과세 한도가 400만원으로 더 높아요. 총급여 5천만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 3천 7백만원 이하면 서민형 가입이 가능하니 자격 요건을 확인해보세요.


손익 통산으로 세금 부담 더 줄이기


ISA의 또 다른 매력은 손익 통산이에요. 계좌 내 여러 상품의 손익을 합산해서 순이익을 계산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세금 부담이 줄어들어요.


예를 들어 ETF에서 500만원 수익이 났는데 다른 펀드에서 200만원 손실이 발생했다면, 순이익은 300만원이 돼요. 일반 계좌였다면 500만원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하지만, ISA에서는 300만원 기준으로 계산해요. 여기서 200만원은 비과세, 100만원만 9.9% 과세되는 거예요.


중개형 ISA로 다양한 상품 담기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중개형 ISA를 활용하는 게 좋아요. 직접 주식, ETF, 리츠, 채권 등을 매매할 수 있어서 자산 배분이 자유로워요.


안정적인 채권이나 예금과 함께 성장 가능성이 있는 ETF나 주식을 섞어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리스크 관리와 절세를 동시에 할 수 있어요. 손실 가능성이 있는 상품과 안정적인 상품을 적절히 배분하면 손익 통산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거든요.


월배당 ETF로 꾸준한 현금흐름 만들기


중개형 ISA에서는 월배당 ETF나 고배당 ETF에 투자할 수 있어요. 분배금도 비과세 한도 내에서는 세금이 없고, 초과해도 9.9%만 내면 돼요.


미국 고배당 ETF나 리츠 ETF를 담으면 매달 또는 분기별로 분배금을 받을 수 있어요. 이런 현금흐름도 ISA 내에서는 손익 통산의 대상이 되니까 다른 상품에서 손실이 났을 때 상계 처리가 가능해요.


납입 한도와 운용 기간 활용하기


ISA는 연간 2,000만원, 3년간 총 6,0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어요. 한 해에 납입하지 못한 한도는 다음 해로 이월되니까 여유자금이 생기면 한꺼번에 넣을 수도 있어요.


3년 이상 유지해야 하는 의무가 있지만, 납입원금까지는 언제든 인출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2,000만원을 납입했다면 그 범위 내에서는 세제 불이익 없이 찾을 수 있어요.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거예요.


만기 후 재가입으로 지속적인 절세


ISA는 만기가 되면 다른 금융사로 옮겨서 재가입할 수 있어요. 비과세 혜택을 계속 누릴 수 있는 거예요. 또한 만기 시 연금계좌로 이체하면 추가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어요.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게 상품을 구성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리밸런싱하면서 운용하면 ISA의 절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요. 비과세 한도를 넘어도 9.9% 분리과세와 손익 통산이라는 강력한 무기가 있으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퇴직연금 일시금 말고 분할로 받으면 실수령액이 1.5배 늘어나는 이유